정부업무평가

MENU
전체메뉴 닫기 CLOSE

전체메뉴

정부업무평가포털의 모든 페이지를
한 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 정부업무평가제도
    1. 정부업무평가 개요
    2. 정부업무평가 체계도
    3. 정부업무평가 기본법
    4. 중앙행정기관 평가
      1. 특정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5. 지방자치단체 평가
      1. 합동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6. 공공기관 평가
      1. 공기업ㆍ준정부기관
      2. 기금
      3.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4. 경제·인문사회분야 연구기관
      5. 지방공기업
  2. 성과관리제도
    1. 성과관리 개요
    2. 성과관리 도입배경
    3. 성과관리 추진체계
    4. 성과관리 절차
    5. 성과관리 전략·시행계획
  3. 정책분석
    1. 정책분석 개요
    2. 정책분석 추진현황
  4. 정부업무평가위원회
    1. 위원장인사말
    2. 위원회소개
    3. 위원회/평가실 역할
    4. 정부업무평가실
전체메뉴 닫기 CLOSE

전체메뉴

정부업무평가포털의 모든 페이지를
한 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 정부업무평가제도
    1. 정부업무평가 개요
    2. 정부업무평가 체계도
    3. 정부업무평가 기본법
    4. 중앙행정기관 평가
      1. 특정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5. 지방자치단체 평가
      1. 합동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6. 공공기관 평가
      1. 공기업ㆍ준정부기관
      2. 기금
      3.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4. 경제·인문사회분야 연구기관
      5. 지방공기업
  2. 성과관리제도
    1. 성과관리 개요
    2. 성과관리 도입배경
    3. 성과관리 추진체계
    4. 성과관리 절차
    5. 성과관리 전략·시행계획
  3. 정책분석
    1. 정책분석 개요
    2. 정책분석 추진현황
  4. 정부업무평가위원회
    1. 위원장인사말
    2. 위원회소개
    3. 위원회/평가실 역할
    4. 정부업무평가실

정부업무평가제도

특정평가

    • 평가 방향

      • 새 정부의 국정 목표기조에 따라 올해 각 기관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역점정책중심으로 평가
      • 정부 출범 첫 해이자, 짧은 추진 기간 등을 감안하여 이행노력 평가강화하고, 국민 의견 수렴을 위한 국민만족도 조사 반영 비중 확대
      • 정부 초기 대통령 지시사항이행력 제고를 위해 가감점 반영 확대
    • 평가 항목

      주요정책 평가항목 테이블표 입니다. 평가항목, 평가지표, 평정, 비중, 이행노력, 목표 달성도, 성과, 정책효과, 국민만족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평가항목 평가지표 평정 비중
      이행노력
      • 과제 이행을 위한 투입노력, 절차·시한 준수 등
        • 과제별 이행계획 완수 여부, 부처 간 협업 노력, 리스크 관리 등 성과 창출을 위한 각 기관의 노력
      정량/정성 30%
      목표 달성도
      • 사전에 설정된 목표치 달성여부
        • 성과지표로 표시된 목표치 또는 완수해야 할 세부목표 달성 여부, 목표 달성의 질 등
      정량/정성 25%
      성과 정책효과
      • 국민에게 체감되는 실질적 효과
        • 역점정책 추진 실적에 대한 효과 등
      정성 30%
      국민만족도
      • 기관 소관 역점정책에 대한 국민만족도 조사
        • (전문리서치 기관 조사)
      정성 15%

      ※ 대통령 지시사항 이행 가감점(±3점), 갈등관리 가감점(±1점), 청년정책 가감점(±1점)
    • 평가 방법

      • 기관별로 올해 역점 추진정책을 선정, 각 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기관 점수를 산출하고 평가등급 부여
      • 정책별 정책 효과에 대해서는 「전문가 평가단」이, 정책 만족도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이 직접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