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업무평가

MENU
전체메뉴 닫기 CLOSE

전체메뉴

정부업무평가포털의 모든 페이지를
한 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 정부업무평가제도
    1. 정부업무평가 개요
    2. 정부업무평가 체계도
    3. 정부업무평가 기본법
    4. 중앙행정기관 평가
      1. 특정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5. 지방자치단체 평가
      1. 합동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6. 공공기관 평가
      1. 공기업ㆍ준정부기관
      2. 기금
      3.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4. 경제·인문사회분야 연구기관
      5. 지방공기업
  2. 성과관리제도
    1. 성과관리 개요
    2. 성과관리 도입배경
    3. 성과관리 추진체계
    4. 성과관리 절차
    5. 성과관리 전략·시행계획
  3. 정책분석
    1. 정책분석 개요
    2. 정책분석 추진현황
  4. 정부업무평가위원회
    1. 위원장인사말
    2. 위원회소개
    3. 위원회/평가실 역할
    4. 정부업무평가실
전체메뉴 닫기 CLOSE

전체메뉴

정부업무평가포털의 모든 페이지를
한 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1. 정부업무평가제도
    1. 정부업무평가 개요
    2. 정부업무평가 체계도
    3. 정부업무평가 기본법
    4. 중앙행정기관 평가
      1. 특정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5. 지방자치단체 평가
      1. 합동평가
      2. 자체평가
      3. 개별평가
    6. 공공기관 평가
      1. 공기업ㆍ준정부기관
      2. 기금
      3.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4. 경제·인문사회분야 연구기관
      5. 지방공기업
  2. 성과관리제도
    1. 성과관리 개요
    2. 성과관리 도입배경
    3. 성과관리 추진체계
    4. 성과관리 절차
    5. 성과관리 전략·시행계획
  3. 정책분석
    1. 정책분석 개요
    2. 정책분석 추진현황
  4. 정부업무평가위원회
    1. 위원장인사말
    2. 위원회소개
    3. 위원회/평가실 역할
    4. 정부업무평가실

정부업무평가제도

특정평가

  1. 평가 방향

    • 규제합리화 관련 국정과제에 따라 경제‧산업 도약, 민생‧안전과 공정‧ 상생 등을 위한 국민 체감도가 높은 핵심규제 개선 성과노력 평가
    • 기존의 절차‧과정 중심 평가에서 규제개선의 실질적 성과 중심 평가전환하여 규제합리화 파급력 확대
    • 기관별 특성에 따른 평가 불이익 최소화를 위해 정성평가 비중을 확대 하고, 결측‧유사지표 최소화평가항목을 내실화하여 평가 형평성 제고
    • 평가 피드백환류기능을 강화하여 우수성과는 대외적으로 홍보하고, 보완이 필요한 과제는 개선을 유도하는 양방향 환류체계 마련
  2. 평가 항목

    규제합리화 평가항목 테이블입니다. 평가항목, 평가 지표, 평정, 비중, 핵심분야 규제개선, 규제 품질관리, 규제혁신 소통 및 체감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평가항목 평가 지표 평정 비중
    핵심분야 규제개선
    • 중점과제 개선
      • 범부처 규제 합리화 기획과제, 신산업 규제 합리화 추진실적 등을 포함한 핵심 규제 발굴‧개선성과 및 노력
    • 건의과제 개선
      • 규제신문고, 현장애로 등 건의 과제 개선성과 및 노력
    정량/정성 57%
    규제 품질관리
    • 규제 비용 감축 및 재검토기한 도래 규제 개선성과
    • 규제 관리 노력 등
    28%
    규제혁신 소통 및 체감도
    • 규제합리화 국민소통
    • 규제합리화 만족도조사
    15%
  3. 평가 방법

    • ‘민관합동 평가단’을 구성하여 평가지표 특성에 따라 ①정성‧정량평가를 실시하고, 국민체감 반영을 위해 ②규제합리화 만족도조사 병행
      ① (정성평가) 규제합리화 노력, 효과, 만족도, 개선도 등
           (정량평가) 규제합리화 실적(소통‧홍보 등), 달성률, 이행률 등

      ② 외부전문기관에서 일반국민, 전문가, 내부고객 등을 대상으로 기관별 만족도를 조사